백두산의 자연
개관
총서
검색
총서
백두산총서
전체열기
전체닫기
백두산총서(지형)
제1장 백두화산의 위치와 령역
제2장 백두화산의 지형형성력사
제1절 백두화산형성이전의 지각운동
제2절 백두화산지형형성의 제1단계
제3절 백두화산지형형성의 제2단계
제4절 백두화산지형형성의 제3단계
제5절 백두화산지형형성의 제4단계
제3장 백두화산
제1절 일반적특징
제2절 장군봉과 향도봉
제3절 백두화산의 화구분지와 천지
제4절 백두화산분화구의 외륜산
제5절 백두화산의 부속 소화산들
제6절 백두화산의 부석과 최근 분출물
제7절 소백화산
제4장 백두화산대 그밖의 화산들
제1절 북포태화산과 장군봉화산
1. 일반적특징
2. 북포태화산의 분화구와 소화산
3. 장군봉화산의 분화구와 소화산
제2절 누른봉-백사봉-관두봉화산
1. 일반적특징
2. 누른봉-백사봉-관두봉화산의 분화구
3. 누른봉-백사봉-관두봉화산의 소화산
제3절 두류화산
1. 일반적특징
2. 두류화산의 분화구
3. 현무암탁상지
제5장 백두용암대지지형
제6장 백두용암대지의 하곡지형
제1절 하곡지형의 일반적특징
제2절 압록강과 그 지류의 하곡
제3절 두만강과 그 지류의 하곡
제7장 백두용암대지의 특수지형
제1절 빙하지형
제2절 풍성지형
제8장 백두용암대지의 지형구획
제1절 화산산지
제2절 용암대지
백두산총서(지질)
제1장 백두산지구의 층서
제1절 시생대층(랑림층군)
제2절 하부원생대층(마천령계)
제3절 상부원생대층(상원계)
제4절 하부고생대층(황주계)
제5절 상부고생대층(평안계)
제6절 중생대층
제7절 신생대층
제2장 백두산지구의 암장작용
제1절 관입암
1. 하부원생대 관입암(리원암군)
2. 중부고생대 관입암(남강암군)
3. 중생대 삼첩기 관입암(혜산암군)
4. 중생대 유라기 관입암(단천암군)
5. 중생대 백악기 관입암
1) 하부백악기 관입암(압록강암군)
2) 상부백악기 관입암(후창암군)
6. 중생대 말-신생대 관입암(학무산암군)
1) 중생대 말-신생대 초 관입암
2) 제3기 말-제4기 관입암
제2절 분출암
1. 분출암의 분류
2. 분출암의 분포특성
1) 준알카리계렬의 염기성분출암
2) 중성분출암
3) 산성분출암
제3절 암장진화과정
1. 분출암을 형성한 원시암장의 동일성
2. 분출암의 암장진화과정
3. 원시암장의 형성깊이와 암장생성방법
제3장 백두산지구의 지질구조와 지체구조
제1절 구조운동
1. 중생대이전의 구조발전단계
2. 중생대구조발전단계
3. 신생대구조운동
제2절 지질구조
1. 단렬구조
2. 륭기 및 침강구조
3. 우주사진에서 나타나는 선형 및 고리형구조
제3절 신기지체구조운동
1. 신기지체구조운동시기
2. 신기지체구조운동의 성격
제4장 백두산지구에서 화산분출작용
제1절 백두화산대형성의 지체구조적환경
제2절 백두화산대의 분출단계
제3절 화산분출형식과 형태
1. 화산분출형식
2. 화산들의 분포
제4절 백두화산형성의 분출활동과정과 화산들
1. 백두화산(본체)형성의 분출활동과정과 화산들
1) 백두화산(본체)형성의 분출활동과정
2) 외륜산의 화산들
3) 천지칼데라안의 화산과 분화구
4) 위성화산들
2. 소백산지구 화산무리형성의 분출활동과정과 화산들
1) 소백산지구 화산무리형성의 분출활동과정
2) 소백산지구 화산무리의 주요화산들
제5절 포태산지구 화산무리형성의 분출활동과정과 화산들
1. 포태산지구 화산무리형성의 분출활동과정
2. 포태산지구 주요화산들
제6절 누른봉지구 화산무리형성의 분출활동과정과 화산들
1. 누른봉지구 화산무리형성의 분출활동과정
2. 누른봉지구 주요화산들
3. 아무산화산과 주변화산들
4. 불치지화산과 주변화산들
제7절 설령-두류산지구 화산무리형성의 분출활동과정과 화산들
1. 설령-두류산지구 화산무리형성의 분출활동과정
2. 설령-두류산지구 주요화산들
제8절 대홍단지구와 서두수류역 화산들의 분출활동과정과 화산들
1. 대홍단지구와 서두수류역 화산들의 분출활동과정
2. 대홍단지구와 서두수류역의 주요화산들
제9절 백두산지구 신생대 분출암들의 고지자기적특징
제5장 백두산지구의 광물
제6장 백두산지구에 분포되여 있는 광상
제1절 금속광상
제2절 비금속광상
제3절 연료자원
백두산총서(토양)
제1장 백두산일대의 토양생성요인과 조건
제1절 지형
제2절 토양생성모암
제3절 기후 및 수문조건
제4절 식물피복
제5절 토양의 년령과 진화발전과정
제6절 인간의 생산적활동과 숙전화과정
제2장 백두산일대토양의 분류 및 분포법칙성
제1절 토양의 분류원칙
제2절 토양의 류형적분류
제3절 토양분포의 법칙성
제3장 백두산일대의 자연토양류형들의 특성
제1절 고산동결층토양
제2절 고산초원토양
제3절 부석층토양
제4절 표백성토양
제5절 표백화갈색토양
제6절 갈색토양
제7절 니탄토양
제8절 충적지토양
제9절 암설토양
제4장 백두산일대농경지토양의 특성
제1절 부석층밭토양
제2절 표백화갈색밭토양
제3절 기타 농경지토양
제4절 농경지토양의 지력제고방도
제5장 백두산일대토양의 지역별특성
제1절 삼지연군 토양
제2절 대홍단군 토양
제3절 보천군 토양
제4절 백암군 토양
제5절 운흥군 토양
백두산총서(기상)
제1장 기후형성의 중요인자
제1절 태양복사조건
제2절 지형조건
제3절 대기순환
제2장 백두산지구의 온도
제1절 기온변화와 그 분포
제2절 토양온도변화와 그 분포
제3장 공기습도와 증발
제1절 공기습도
제2절 증발
제3절 강수량과 증발량의 비
제4장 구름과 안개
제1절 구름
제2절 맑은일수와 흐린일수
제3절 안개
제5장 해비침
제1절 해비침시간
제2절 해비침률
제3절 해비침률별 일수
제6장 강수
제1절 강수량분포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과 강수량분포의 일반적특징
제2절 강수량의 변화와 분포
제3절 우박
제4절 뢰우
제5절 서리
제6절 눈
제7장 기압과 바람
제1절 기압
제2절 바람
제8장 백두산지구의 기후구
제1절 기후의 일반적특성
제2절 수직기후대
제3절 지대별 기후의 특징
제4절 천지의 기후
제9장 기후자원과 그 리용
제1절 태양에네르기자원과 그 리용
제2절 풍력자원과 그 리용
제3절 농업기후자원과 그 리용
제4절 관광기후자원
백두산총서(수문)
제1장 강하천
제1절 하계망의 형성과 발전
제2절 하천망의 분포
제3절 하천의 류출
제4절 주요하천의 특성
제5절 백두산지구 하천의 수질
제2장 못과 소택
제1절 못
제2절 소택
제3장 물자원과 리용
제1절 물자원
제2절 물자원리용
제3절 물자원평가
제4장 백두산천지
제1절 천지의 성인과 발달
제2절 천지물의 기본원천
제3절 천지물의 흐름과 물결
제4절 천지의 물깊이
제5절 천지의 물온도와 얼음
제6절 천지물의 화학적조성과 위생학적특성
제7절 천지의 온천
제8절 천지의 물색과 물맑음도
제9절 백두산천지의 저질
백두산총서(미생물)
제1장 백두산지구 미생물의 종구성과 분포
제1절 생태적환경으로서의 산림토양과 미생물
1. 생태적환경으로서의 산림토양의 특성
2. 산림토양미생물과 활성
3. 부석층토양과 미생물
제2절 백두산지구 미생물상에 미치는 생태적요인
1. 백두산지구 토양류형별 미생물상
2. 미생물상에 미치는 백두산지구의기상기후학적요인의 영향
3. 토양의 화학적조성과 부식질의 함량이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
제3절 백두산지구 미생물의 종구성과 생태적분포
1. 미생물의 종구성
2. 동결층 및 암설토양과 미생물의 종구성 및 분포
3. 고산초원토양과 미생물의 종구성 및 분포
4. 부석층토양과 미생물의 종구성 및 분포
5. 부식질, 표백화갈색토양과 미생물의 종구성 및 분포
6. 니탄토양과 미생물의 종구성 및 분포
제2장 백두산지구의 미생물종류
제1절 백두산지구에 분포된 세균
Ⅰ. 백두산지구의 토양류형에 따르는 세균의 종구성과 분포
Ⅱ. 백두산지구에 분포된 세균의 종류와 특성
제2절 백두산지구에 분포된 방선균
Ⅰ. 백두산지구의 토양류형에 따르는 방선균의 종구성과 분포
Ⅱ. 백두산지구에 분포된 방선균의 종류와 특성
제3절 백두산지구에 분포된 효모
Ⅰ. 백두산지구의 토양류형에 따르는 효모의 종구성과 분포
Ⅱ. 백두산지구에 분포된 효모의 종류와 특성
제4절 백두산지구에 분포된 곰팽이
Ⅰ. 백두산지구의 토양류형에 따르는 곰팽이의 종구성과 분포
Ⅱ. 백두산지구에 분포된 곰팽이의 종류와 특성
제3장 백두산지구에 분포된 미생물의 경제적의의
제1절 자양성미생물의 경제적의의
제2절 타양성미생물의 경제적의의
백두산총서(동물)
제1장 백두산일대의 척추동물상
제1절 짐승류
1. 짐승류상의 일반특징
2. 짐승류의 생태류형과 분포특징
3. 짐승류의 종구성
제2절 새류
1. 새류상의 일반특징
2. 새류의 생태류형과 분포특성
3. 새류의 종구성
제3절 파충류
제4절 량서류
제5절 물고기류
1. 물고기상의 일반특징
2. 물고기류의 생태적구성과 분포특징
3. 물고기류의 종구성
제2장 백두산일대의 무척추동물상
제1절 곤충류
1. 낮나비류
2. 밤나비류
3. 벌류
4. 파리류
5. 딱장벌레류
6. 잠자리류
7. 풀미기류
8. 돌미기류
9. 하루살이류
10. 노린재류
11. 매미류
12. 메뚜기류
13. 톡톡벌레류
14. 듯무지류
15. 뿔잠자리류
16. 가위벌레류
17. 사마귀류
18. 다맹이류
제2절 그밖의 무척추동물
1. 거미류
2. 진드기류
3. 갑각류
4. 곰벌레류
5. 다족류
6. 지렁이류
7. 골뱅이류
8. 선충류
제3장 백두산일대 생태환경별 동물의 분포
제1절 넓은잎나무숲지대의 동물
제2절 섞인나무숲지대의 동물
제3절 바늘잎나무숲지대의 동물
제4절 고산초원무림지대의 동물
제5절 수계
제4장 백두산일대 동물상의 형성과 발전
제1절 백두산일대 현생동물상의 형성과 발전
1. 짐승류상의 형성과 발전
2. 새류상의 형성과 발전
3. 파충류상의 형성과 발전
4. 량서류상의 형성과 발전
5. 물고기상의 형성과 발전
제2절 백두산동물상의 형성특징
제5장 백두산일대 동물자원보호와 경제적의의
제1절 백두산일대의 보호구
제2절 백두산일대의 천연기념물
제3절 특별히 보호하여야 할 동물
제4절 리로운 동물
제5절 백두산동물상의 보호
백두산총서(식물)
제1장 백두산지구의 식물상
제1절 백두산지구의 종자식물상
1. 식물분포의 일반적특성
2. 자연지리적특징에 따르는 식물의 분포
3. 백두산지구 식물분포구
4. 백두산지구 종자식물목록
제2절 백두산지구의 양치식물상
1. 백두산 양치식물생활의 자연환경
2. 백두산 양치식물의 종구성
3. 백두산 양치류의 구계지리적분포
4. 백두산 양치식물의 생태무리
5. 백두산지구 양치식물목록
제3절 백두산지구의 태선류상
1. 백두산지구의 태류상
2. 백두산지구의 태류목록
3. 백두산지구의 선류상
4. 백두산지구의 선류목록
제4절 백두산지구의 지의류상
1. 백두산지구 지의류의 종구성
2. 백두산지구 지의류의 생육환경과 기질
3. 백두산지구 지의류의 분포
4. 백두산지구 지의류의 목록
제5절 백두산지구의 균류상
1. 백두산지구의 버섯류상
2. 백두산지구의 기생균류상
3. 백두산지구의 균류목록
제6절 백두산지구의 조류상
1. 백두산지구 조류의 분류군구성
2. 서식환경에 따르는 조류의 분포
3. 백두산지구 조류의 생활양식
4. 백두산지구 조류의 분포
5. 백두산지구 조류목록
제2장 백두산지구 식물피복
제1절 백두산지구 식물피복상관
1. 백두산지구 식물피복의 수직분포
2. 고산초본대의 식물피복
3. 백두산지구 고산동결대의 식물상
4. 백두산동결대와 아고산저목림대의 상관
5. 침엽수림대의 상관
6. 침활혼성림대의 상관
7. 고산식물피복의 지형적분포
8. 백두산지구의 진펄식물
제2절 백두산지구의 식물군락분류
제3절 백두산지구의 식물피복도
제3장 백두산지구의 식물자원과 그 보호
제1절 백두산지구의 식물자원
1. 목재자원
2. 섬유 및 종이원료자원
3. 기름원료자원
4. 산열매 및 비타민식물자원
5. 약원료자원
6. 산나물자원
7. 향료자원
제2절 백두산지구의 식물자원보호
백두산총서 [지형]
닫기